본문 바로가기
English 공부 이야기

한국의 미신과 미국의 미신, 무엇이 다를까? – 문화로 풀어보는 흥미로운 비교 영어로 읽기

by We are in the World 2025. 4. 12.

 

“밤에 손톱을 깎으면 안 된다?”

“검은 고양이가 길을 가로막으면 불운이 찾아온다?”

 

이런 이야기를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 사실 이 둘은 각각 한국과 미국의 대표적인 미신입니다. 과연 왜 이런 미신들이 생겨났고, 서로 다른 문화권에서는 어떤 미신이 존재할까요? 이번 포스팅에서는 한국과 미국의 대표적인 미신을 비교하며, 그 속에 담긴 문화적 가치와 사고방식의 차이를 함께 살펴보겠습니다.

 

한국 미신의 뿌리: 공동체와 조상 중심의 사고방식

한국의 미신은 유교, 불교, 무속신앙 등 전통적 종교와 깊은 관련이 있습니다. 특히 조상 숭배와 운명론적 사고가 미신에 큰 영향을 끼쳤죠.

 

대표적인 한국 미신

  • 밤에 손톱 깎지 말라 → 도둑이 들어온다는 속설 → 실제로는 예전 조명 환경이 열악해, 다치지 말라는 실용적인 조언에서 비롯된 것으로 추정됩니다.
  • 숫자 4는 불길하다 → 한자로 '사(四)'가 '죽을 사(死)'와 발음이 같아 꺼리게 된 것. 엘리베이터에 ‘F’층이 있는 것도 이 때문이죠.
  • 잠꼬대를 하면 영혼이 빠져나간다 → 조선 시대 무속 신앙의 영향으로, ‘혼백’ 개념에서 비롯됨.

한국 미신은 삶과 죽음, 가족, 조상 등 공동체적 가치를 반영하고 있으며, 경고의 의미가 담긴 경우가 많습니다.

 

미국 미신의 배경: 기독교, 유럽 민속, 개척정신의 영향

미국의 미신은 주로 유럽 이민자들의 전통, 특히 켈트족, 영국, 독일 등지의 민간신앙이 바탕이 되었으며, 여기에 기독교적 상징성과 미국 특유의 개인주의 문화가 녹아 있습니다.

 

대표적인 미국 미신

  • 금요일 13일은 불길하다  → 예수의 최후의 만찬에 참석한 13번째 인물이 유다였다는 데서 유래.. 서양에서는 ‘13’이 불행을 의미함.
  • 검은 고양이가 앞을 가로막으면 불운하다 → 중세 유럽에서 마녀의 하수인으로 여겨졌던 고양이에서 유래.
  • 행운의 네잎 클로버, 말발굽 →  켈트족의 전통에서 비롯된 행운의 상징들. 미국에서는 특히 ‘개인적인 성공’이나 ‘복권’ 등과 연결됨.

미국 미신은 개인적인 행운과 불운, 심리적 안정감과 관련 있는 경우가 많고, 팝컬처와 오락 요소로 소비되기도 합니다.

🧭 한국과 미국 미신의 차이점 정리

구분 한국 미국
가치관 조상/공동체 중심 개인 중심
종교적 배경 유교, 불교, 무속 기독교, 유럽 민속
숫자 미신 4(, )는 불길 13은 불길
상징 동물 까치(길조), (불길) 검은 고양이, 부엉이 등
공간적 사고 명당, 풍수에 민감 유령의, 초자연적 현상 강조

왜 우리는 미신을 믿을까?

미신은 인간의 두려움, 불확실성, 통제할 수 없는 상황에 대한 심리적 보완으로부터 시작됩니다. 예를 들어, 시험 전 '빨간 팬티'를 입는다거나, 중요한 발표 전 '행운의 펜'을 사용하는 행동은 미신과 유사한 행위이죠. 이런 미신은 과학적 사실과 거리가 있지만, 의외로 문화와 정체성을 보여주는 중요한 요소가 됩니다.

 

미신은 단순히 말도 안 되는 이야기가 아니라, 그 사회의 역사, 종교, 철학, 문화가 오롯이 담긴 문화적 산물입니다. 한국과 미국, 각각의 미신을 비교해 보면 서로 다른 사회가 무엇을 두려워하고, 어떤 것을 소중히 여기는지 알 수 있죠. 다음에 누군가 미신에 대해 말할 때, “그거 미신이야!”라고 넘기기 전에, “왜 그런 말이 생겨났을까?” 한 번쯤 생각해보는 건 어떨까요?

 

 

미국의 미신 주제를 담은 영어문장으로 공부해볼까요??

 

American Superstitions (미국의 미신)

Every culture has superstitions. Some people believe them more than others. Our modern technological society puts a high value on rationality, but superstitions can still hold a powerful influence. Most people seem to outgrow them. But how many people continue to believe (or at least act like they believe) superstitions as adults?

모든 문화에는 미신이 있다. 어떤 사람들은 다른 사람들보다 미신들을 더 믿는다. 우리 현대 기술 사회는 합리성에 높은 가치를 두지만 미신은 여전히 강력한 영향력을 가질 수 있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미신들에서 벗어 버리는 것 같다. 그러나 얼마나 많은 사람들이 성인으로서 미신을 계속 믿거나 최소한 믿는 것처럼 행동하는가?

 

 

A survey conducted for the journal American Demographics by the research firm Market Facts found some surprising results. In the survey, people were asked how superstitious they were. Also, ten common superstitions were listed. Five related to good luck and five to bad luck. Respondents were then asked to check the ones they believed, and how strongly.

조사기관인 Market Factures가 미국 인구통계학 저널을 위해 실시한 한 설문조사는 놀라운 결과를 발견했다. 이 조사에서 사람들은 그들이 얼마나 미신적인지를 물었다. 또한, 10개의 일반적인 미신이 나열되었다. 5개는 행운과 관련이 있고 5개는 불운과 관련이 있다. 그리고 나서 응답자들은 그들이 믿는 것들과 그것들이 얼마나 강한지 확인하도록 요청받았다.

 

 

 

Of the superstitions in the list, good-luck superstitions were more widely held. The top good-luck superstitions that most people followed “very much” were picking fourleaf clovers (seventy-nine percent), knocking on wood (seventy-two percent), picking up pennies (seventy percent), and crossing fingers for luck (fifty-nine percent).

그 목록에 있는 미신들 중에서, 행운의 미신이 더 널리 행해졌다. 대부분의 사람들이 '매우 많이' 따르는 가장 큰 행운의 미신은 네 잎 클로버를 따는 것(79%), 나무를 두드리는 것(72), 페니를 따는 것(70), 행운을 위해 손가락을 교차하는 것(59)이었다.

 

Of the bad-luck superstitions, the most common belief was that breaking a mirror brought bad luck (eighty two percent). Other bad-luck superstitions listed in the survey included seeing black cats, walking under ladders, a groom seeing the bride before the wedding, and doing anything on Friday the 13th.

악덕 미신 중에서 거울을 깨면 액운이 온다는 것이 가장 일반적인 믿음이었다(82%) 이 조사에 열거된 다른 불운의 미신들로는 검은 고양이 보기, 사다리 밑 걷기, 결혼식 전에 신부를 보는 신랑, 그리고 13일 금요일 무슨 일이든 하는 것이 있었다.

 

 

Even though most Americans consider superstitions nothing more than ridiculous myths, forty-four percent of the people surveyed still admitted they were superstitious. There were other seemingly contradictory results. Among the fifty-six percent who did not describe themselves as superstitious, belief in “optimistic” superstition was still fairly common.

비록 대부분의 미국인들이 미신을 터무니없는 신화에 지나지 않는다고 생각하지만, 조사 대상자 중 44%는 여전히 미신을 믿는다고 인정했다. 겉보기에 모순된 다른 결과들이 있었다. 자신을 미신을 믿는 사람이라고 표현하지 않은 56% 가운데 '낙관적인' 미신에 대한 믿음은 여전히 상당히 흔했다.

 

For example, twelve percent of those who said they were not really superstitious confessed to knocking on wood for good luck. And nine percent confessed they would pick up a penny on the street for good luck. Likewise, nine percent of “non-believers” also said they would pick a four-leaf clover for luck if they found one. And some still believed in kissing under the mistletoe for luck.

예를 들어, 실제로 미신을 믿지 않는다고 말한 사람들 중 12퍼센트가 행운을 위해 나무를 두드렸다고 고백했다. 그리고 9퍼센트는 행운을 위해 길에서 한 푼을 주울 것이라고 고백했다. 마찬가지로 '미신을 믿지 않는 사람들'9%'발견할 수만 있다면 행운을 위해 네 잎 클로버를 따겠다'고 답했다. 그리고 몇몇은 여전히 겨우살이 나무줄기 아래서 키스하는 것을 믿었다.

Of the forty-four percent of Americans who admit their superstitious beliefs, sixty-five percent said they were “only a little” superstitious. Twenty-seven percent were “somewhat” superstitious, and eight percent were “very” superstitious. Among this last group of believers, some interesting differences appeared when the men and women were considered separately.

미신을 믿는 미국인의 44% 가운데 65%"조금만" 미신을 믿는다고 답했다. 27%'다소' 미신이었고, 8%'매우' 미신이었다. 이 마지막 신자 집단 중에서 남녀를 따로 고려했을 때 몇 가지 흥미로운 차이점이 나타났다.

 

In the survey, women comprised sixty percent of the entire superstitious group, seeming to indicate that women tend to be more superstitious than men. However, more than half(sixty-four percent) of the “very” superstitious believers were male.

이 조사에서 여성은 전체 미신 집단의 60%를 차지했는데, 이는 여성이 남성보다 미신을 더 믿는 경향이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매우' 미신을 믿는 사람들의 절반 이상(64%)은 남성이었다.

 

Additionally,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age between the believers and the non-believers. In the survey, more young people admitted their superstitious nature than older people. For people between the ages of 18 and 24, sixty-four percent claimed to be at least a little superstitious. But for seniors 65 and older, only thirty percent admitted to believing in any superstitions.

게다가, 믿는 사람들과 믿지 않는 사람들 사이에는 나이 차이가 컸다. 이번 조사에서 노년층보다 미신성을 인정한 젊은이들이 더 많았다. 18세에서 24세 사이의 사람들에게 64퍼센트는 적어도 약간은 미신을 믿는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65세 이상의 노인들에게, 단지 30퍼센트만이 미신을 믿는다고 인정했다.

 

It might be expected that people with more education would be less superstitious, but results from the survey indicated almost equal numbers of believers among those with and without college degrees. Of those survey respondents whose education stopped at high school, forty-two percent reported being at least a little superstitious. For those with a college education, forty-seven percent claimed the same minimal level of belief.

더 많은 교육을 받은 사람들이 미신을 덜 믿게 될 것이라고 예상할 수도 있지만, 이 조사의 결과는 대학 학위가 있는 사람들과 없는 사람들 사이에 거의 같은 수의 신자들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고등학교에서 교육을 중단한 설문 응답자 중 42%는 적어도 약간 미신을 믿는다고 말했다. 대학 교육을 받은 사람들의 47%는 같은 최소한의 믿음이라고 주장했다.

 

These results may seem puzzling, but perhaps they are to be expected. Whether they are true believers or not, most people would say there’s no harm in doing something like knocking on wood or crossing one’s fingers to increase the chances of a positive outcome. After all, who couldn’t use a little extra luck?

이러한 결과는 곤혹스럽게 보일 수 있지만, 아마도 예상할 수 있을 것이다. 그들이 진정한 믿는 사람들이든 아니든, 대부분의 사람들은 긍정적인 결과의 가능성을 높이기 위해 나무를 두드리거나 손가락을 교차시키는 것과 같은 일을 하는 것은 해가 되지 않는다고 말할 것이다. 결국, 누가 약간의 여운을 쓰지 못했는가?

 

 

아래의 강의영상은 지난 코로나 시기때에 비대면 강의를 했던 영상입니다. 시간은 흘렀지만, 독해내용이나 문법은 변함없지요. 열심히 공부하세요!

 

[독해 강의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DYtvuUSNtkY&list=PL57s7hay-Xxb-B0jmA4iXBzDGgraJCiko&index=7

 

[문법 강의영상]

https://www.youtube.com/watch?v=RDEdRlSBgvU&list=PL57s7hay-Xxb-B0jmA4iXBzDGgraJCiko&index=8